삼성경제연구소 자료 中

원화강세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거시경제, 산업, 수출기업 실적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거시경제 측면에서는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1,100원으로 하락할 경우 경제성장률은 약 1%p 하락하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감소 및 성장둔화에 따른 소비감소 효과가 원화가치 상승에 따른 구매력 증대 효과를 초과하여 민간소비 증가율 하락 효과는 0.38%p로 나타났다.

향후 원화강세는 주요업종의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다. 원/달러 환율이 2010년 평균 1,100원으로 떨어질 경우 주요업종 중 정밀기기, 가전, 정보통신 등의 수출증가율이 각각 21.4%p, 17.1%p, 10.5%p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요인이 수출기업의 영업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출 비중 50%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수익성 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09년 4/4분기부터 환율변동이 영업수지 개선요인에서 악화요인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0년 연평균 환율이 2009년 1,276원에서 1,100원으로 하락하는 경우 환율효과만으로 분석대상 수출기업의 영업이익은 2009년 25.4조원에 비해 91.7% 감소(23.3조원)한 2.1조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포트
Posted by trigger
,
http://news.mt.co.kr/mtview.php?no=2010051908182467634&type=1&outlink=1

주식에 투자한 자산만 500억원정도 된다는 개인 ‘큰손’ 투자자를 만났다. 그는 오랜 기간 주식투자를 해 온 결과 주식투자를 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는 ‘환율’이었다고 털어놨다. 환율을 배제한 투자는 절대로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투자원칙이었다.

지난해 3월초 글로벌 금융시장 위기고조로 원달러 환율이 1600원 부근까지 치솟을 정도로 우리 시장은 고환율에 시달렸는데, 이것이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더없는 기회였다고 그는 평가했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 경제상황이 대부분 정상화됐고, 원달러 환율이 1100원대까지 내려온 지금에 와서는 내수주가 유리해질 것이라고 그는 주장했다. 환율을 놓고 봤을 때 기존 주도주인 IT 자동차 등 수출주가 계속 갈 것이란 전망은 지나치게 낙관적인 것이며, 지금은 내수주로 옮겨 타야 한다는 것이다. 내수주 가운데 특히 증권주가 유망할 것으로 봤다.

요즘처럼 전 세계 금융시장이 주름 잡혀 있을 때 개인 투자자들은 어떤 종목을 사고팔아야 하는지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다. 그동안 외국인과 수출주 중심으로 움직이던 증시의 모습이 조금씩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젠(혹은 외국인이 다시 돌아오기까지) 내수주로 눈을 돌릴 때라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속속 나오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은 “전날 주식시장의 특징이라면 자동차 IT 화학을 비롯해 그동안 상승을 주도해왔던 업종들이 일제히 급락한 반면, 음식료 건설 은행 섬유의복을 비롯해 상대적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던 내수업종이 반등에 나선 점"이라고 설명했다.

1/4분기 어닝시즌이 지나면서 시장의 관심은 2/4분기 이후 실적에 쏠릴 수밖에 없는데, 최근 유럽사태의 장기화 조짐과 글로벌 경기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우려로 경기민감주에 대한 낙관적인 시각을 잠시 접어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우리투자증권은 지적했다.

상대적으로 내수주들은 가격부담이 덜한데다, 경기에 대한 민감도가 적어 안전성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오히려 매력 있게 다가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했다. 외국인과 기관들도 그동안 집중했던 경기민감주의 차익실현과 더불어 비중이 낮았던 내수주들의 매수를 늘리며 최근의 상황변화에 대비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우리투자증권은 중국 소비확대에 따른 수혜주(유통,화장품, 음식료, 항공, 여행 업종 등)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높이는 전략을 추천했는데, 단순 내수주보다는 중국시장 진출로 추가성장 기반을 마련한 내수기업들이 종목별 변동성 확대기에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대우증권은 "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만큼 단기적인 방향성을 예측하긴 힘들지만, 장기적으로 꾸준히 이익전망이 개선되고 주가는 상승했으나 밸류에이션(PER)은 하락한 종목에 관심을 가진다면 결과적으로 단 열매를 맛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Posted by trigger
,
예를 들어, 작년 2008년 10월처럼 환율이 급등하고 이에 따라서 원자재 수입가격이 급등했을 경우의 투자전략. 이 때는 원자재를 수입해서 일부 가공해서 판매하는 업종이 큰 타격을 받게 된다. 그러나 그것이 곧 지나가는 일이라면 다음과 같은 종목들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

1. 원가에서 원자재 비중이 높고, 환헷지를 별로 하지 않는 기업
  • 대한제당, 대한제분, 한국제지, 태양산업 등
2. 특히 위의 특성을 가진 회사들중에서도 소비재쪽(B2C) 제품을 하고 있다면, 위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 의해서 오르게 된 제품 가격이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B2B 기업은 가격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 대한제당: 설탕
  • 대한제분: 밀가루
  • 한국제지: 복사지
  • 태양산업: 휴대용 부탄가스
  • 대웅제약: 수입의약품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환율하락시 수혜. 5월 22일자 KB증권 리포트 참고 http://www.kbsec.co.kr/
Posted by trigger
,
S&P500이 하락하면, 달러로 한국에 투자하던 해외 자산이 한국에서 빠져나간다. 원화를 달러로 바꿔서 나가게 되니 달러의 수요는 오르고 원화의 수요는 감소. 즉, \/$ 는 오르게 된다. 


위의 그림을 뒤집에서 보면



경험상 미증시와의 디커플링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 말이 나올 때는 증시는 항상 요동치며 떨어졌다.
Posted by trigger
,
출처: http://news.joins.com/article/3326900.html?ctg=1100

원-달러 환율의 상승세가 진정될 기미가 없다. 정부에서 강력히 개입해도 ‘약발’은 하루를 못 넘긴다. 외국계 대형 외환은행에서 근무하는 한 트레이더는 “이미 정부가 지는 게임에 말려들었다”고 단언했다. 트레이더들은 “트레이더들 사이엔 한국 당국의 외환개입이 환차익을 얻는 기회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고도 했다. 지난 5개월간 외환시장에선 무슨 일이 있었을까?



외환시장이 심상치 않다. 정부의 잇따른 구두 및 실물 개입에도 좀처럼 환율 상승세가 가라앉을 기세가 아니다. 경제수석, 기획재정부 장관, 대통령까지 나서 환율 상승에 대해 강력한 의지를 표하고 있지만 외환시장은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2396억 달러라는 막대한 외환보유액도 외환시장을 안심시키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시장에서는 외환위기설이 나돌 정도다. 일선에서 직접 외환을 거래하는 트레이더를 통해 지금 외환시장의 분위기와 추세를 들어봤다.

▶▶▶외환시장은 사채시장

지난 9월 23일 외환거래를 하던 트래이더 A씨는 깜짝 놀랐다. 금융기관끼리 쓰는 하루짜리 초단기 자금인 오버나이트론(overnight loan)을 구하려 외환 스와프 시장에 들어갔다가 달러 금리가 연리 환산으로 20%까지 치솟은 것을 봤기 때문. 미국 기준금리가 2.5%인 점을 감안하면 거의 8배에 가까운 셈이다.

그는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금리가 7~8%를 오간 적은 있지만 20%까지 갈 줄은 몰랐다”고 했다. 지금은 그나마 안정돼 오버나이트론 금리가 7~10%를 오르내리고 있다. 미국 금리를 감안하면 지금 금리도 비정상적인 수준이다. 더 큰 문제는 금리가 아니다.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외환시장에서 달러차입이 막혀있다는 점이다.

A씨는 “지금 외환시장에서 3개월, 6개월짜리 자금은 아예 구할 수 없다. 오버나이트론도 찾는 사람은 많은데 빌려주는 곳이 없어 달러 바이&셀(buy&sell) 스와프 시장으로 몰려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말해 외환시장은 ‘일수시장’으로 변했다는 얘기다. 금리를 아무리 높게 줘도 몇 개월짜리 단기자금을 찾을 수 없다.

달러가 부족해지면서 파생상품 시장인 스와프 시장에까지 금융기관이 몰려들고 있다. 파생상품 시장은 현물 달러가 거래되는 것이 아니라 장부상의 달러가치만 거래되기 때문에 일종의 도박과 같다.

▶▶▶시중은행 달러 차입 안 돼

시중은행은 이미 달러를 구할 수 없다. 미국 금융기관은 물론이고 전 세계 금융기관이 달러를 구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시중은행은 차입으로 달러를 빌릴 통로가 막혔다. 트레이더 B씨는 “이제 한국에 달러를 공급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경상수지 흑자와 해외에 있는 자산매각을 통해 들어오는 달러밖에 없는 셈”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의 해외 채권발행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국내 대형 은행도 달러 차입이 불가능하다. 절박한 상황이란 얘기다. 그나마 산업은행은 지난달 5억2000만 달러를 해외 금융시장에서 차입하는 데 성공했으며 수출입은행도 비록 6개월짜리 단기 시장이긴 하지만 6400만 달러를 조달했다. 하지만 이달 들어서는 국책은행도 달러 조달이 힘들어지고 있다.

B씨는 “시장은 이미 패닉 상태로 가고 있다. 요즘 외환 트레이더들은 거래를 통해 돈을 버는 것보다 불확실한 시장에서 살아남는 방법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만큼 시장이 비정상적이라는 말이다.

▶▶▶왜 원화가 유독 약세인가

아시아에서 달러-엔 다음으로 규제가 없는 통화가 원-달러다. 외환거래와 관련해 해외에서 원화로 결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것이 다 풀렸다. 달러-엔은 선진국 외환시장이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투자나 거래가 상당히 크다.

상대적으로 변동성도 낮다. 이 때문에 통화위기가 오면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곳이 신흥시장 외환이다. 아시아 신흥시장 중 규모나 규제 면에서 원화가 가장 선호된다.

규제가 심한 중국과 경제 규모가 작은 동남아 국가에 비하면 한국은 양쪽을 다 충족하는 시장이다. A 트레이더는 “스팟(spot·현물)시장의 하루 거래량이 70억~80억 달러에 이르고 역외선물시장(NDF)이 30억~40억 달러에 달해 아시아 신흥시장의 2위 국가인 말레이시아에 비해 규모에서 3~4배 크다”고 말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나 은행으로선 대규모 거래가 이뤄지는 한국의 외환시장이 달러를 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환경인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달러 위기가 오면 아시아 시장에서 가장 먼저 영향을 크게 받는 곳이 한국이다.

▶▶▶정부가 ‘환란’ 부추긴다

B 트레이더는 지금 상황을 ‘환란’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원-달러 환율은 정상적인 경우 하루에 3원 내에서 움직인다. 10원 움직이면 변동폭이 커 외환시장이 출렁인다고 한다. 지금은 하루에 30~40원씩 움직이는 날이 많다. 정상적인 시장이라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외환거래 시 증거금은 보통 거래액의 1% 정도다. 이 말은 거래액의 변동폭이 커봐야 1%라는 뜻이기도 하다.

하지만 요즘 하루 변동폭은 3%에 이르고 있다. 실제 10월 2일 원-달러 환율은 1223.5원으로 마감돼 전날(1187원)보다 36.5원 상승했다. 또 9월 17일에는 전날보다 42원 급등하는 등 최근 1개월간 외환시장은 하늘과 땅을 오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환란’ 수준으로 외환시장이 변한 것은 리먼브러더스 파산 등 미국발 금융위기가 직접적인 요인이지만 정책 당국의 섣부른 외환 개입과 올 초 고환율 정책을 공표하는 등 외환시장에 불신과 잘못된 신호를 보낸 것도 큰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지난 5월 말부터 6월 초 사이 정부의 개입 행태를 보고 외환시장 참여자들은 큰 쇼크를 받았다고 A 트레이더는 말했다. 당시 정부는 1050원 선을 지키기 위해 하루에 20억 달러를 쏟아 부으며 외환시장에 개입했다. 원화 약세를 점치던 외환시장 참여자들에게는 강한 경고의 메시지가 됐지만 정부는 이번에는 오히려 1010원 선을 지키는 모습을 보였다.

A 트레이더는 “원화 강세가 되는 줄 알고 달러 사는 일을 멈추려던 트레이더들이 한국 정부가 1010원에서 받친다는 사인을 보면서 원화를 마음 놓고 사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아래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꼴이 되면서 외환시장 참여자들은 얼마에 사서 얼마에 팔면 된다는 수익선을 예측하게 된 셈이다.

A 트레이더는 “만약 그때 정부가 1010원에서 받치지 않고 1000원 밑으로 가도록 했다면 지금 환율이 1100원을 넘기는 힘들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외환시장에서는 ‘이 정부가 1000원대 이하의 환율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얘기가 돌았다. 이처럼 최근의 고환율은 세계 금융시장의 경색, 정부의 실정, 한국 외환시장의 특수성이 맞물린 결과다.

한 외국계 외환 딜러는 “정부가 100억 달러를 투입해서라도 환율을 안정시키겠다고 했는데 이는 외환시장에서 보면 우스운 일”이라고 했다. 그는 “100억 달러는 요즘 같은 시기엔 반나절도 버티기 힘든 규모”라고 했다. 그는 “정부가 이미 필패(必敗) 게임인 시장과의 싸움에 들어간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외환보유액을 환율 방어에 쓰지 말고 최후의 순간을 대비해 끝까지 지킬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이석호 기자 [lukoo@joongang.co.kr]


쉽게 얘기하자면 다음과 같다

신용경색으로 달러 품귀현상 > 환율 급등(원화가치 하락) > 정부에서는 환율안정을 위해서 달러를 시장에 뿌린다 > 그러나 달러를 사려는 수요 여전 > 다시 환율 급등

외환시장의 하루 거래량 = 100 억 달러 = 130 조원
한국정부의 외환보유고 = 2396 억 달러

한국정부의 외환보유고는 24일치 거래량밖에는 안 된다는 얘기다. 위와 같은 신용경색에 따른 달러 급등이 한달만 가도 외환보유고가 동난다는 얘기.

한달 내에 외환시장이 안정화되지 않거나, 신용경색이 풀려서 달러가 풀리지 않는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외환시장의 파급력은 엄청나게 크다.

한국의 정부 1년 예산 = 270 조원
코스피 시가총액 = 690 조 7824억원 (2008년 10월 6일 기준)
코스닥 시가총액 =  61 조  9823억원 (2008년 10월 6일 기준)

주식시장과의 관계

신용경색이 될 경우, 현금자산이 중요해진다 > 외국인이 한국주식을 매도 > 매도하고 받은 원화를 외환시장에서 달러로 환전하고 달러를 본국으로 송환한다 > 달러의 품귀는 지속(달러 급등)

달러가 오르면 외국인 입장에서는 매수가 대비 손해를 보고 팔아도 환율 오른 것이 그것을 보상하거나 최소한 영향을 적게 받게 된다.

Posted by trigger
,

2008년 유가는 배럴당 70 달러, 환율은 850원까지 전망

- FRB의 금리인하는 계속 될 듯 -

- 부동산경기와 소비시장에 주목 -


보고일자 : 2007.12.19.

구민경 로스엔젤레스무역관

glominkk at kotrala.com



KOTRA LA 무역관은 지난 12월 13일 현지언론인 헤럴드 경제와 공동으로 남가주지역 금융·부동산·무역·유통·회계·섬유 등 업계의 전문가를 초청해 2008년 한미 경제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 논의된 2007년 주요 이슈와 2008년 미국 경제 전망에 대한 내용을 요약한다.

 · 기조연설 : 손성원 한미은행장

 · 기조발제 : 김상철 LA 무역관장

 · 패널리스트 : 임문일 헤럴드경제 부사장(모더레이터), 임성두 메릴린치 부사장

                     홍 CBRE 마크 부사장, Choi, Kim & Park LLP 최기호 공인회계사

                     aT 센터 김학수지사장, 의류협회 신남호 전회장, USC 이제훈 교수



□ 2007-2008 이슈 : 부실 모기지, 금리인하, 달러약세


 ○ 미국의 부실모기지 사태가 세계적인 문제로 확산

  - 2007년 미국 경기에 있어 최대 화두는 서브프라임 부실모기지 사태였음.

  - 부동산은 건축과 모기지시장에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는데, 미국에서는 전체 일자리의 8분의 1이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받고있으며, 소비자의 여유소득과 소비심리에도 큰영향을 미치고 있음.

  - 부실모기지 사태가 표면적으로 드러나면서 모기지 관련 펀드시장이 폭락하고 대출시장도 위축시켜 문제의 심각성이 확산됐고, 전문가들은 주택경기로 인해서 경제성장률이 1% 감소한 것으로 분석함.

  - CBRE의 Mark Hong 부사장은 대출이 까다로워지고 모기지 금리도 오르면서 주택뿐 아니라 상업 부동산 시장에도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는데, 2008년에는 상업 부동산가격이 2006년보다 5~10% 내려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상업 부동산은 사무실, 상가, 아파트와 공업용 건물로 나뉘는데, 전반적으로 거래가 감소하고 가격 또한 내려가고 있는 추세임.

  - 2007년 오피스빌딩 거래는 70%가 감소했고 상가와 아파트는 각각 50%, 공업용 건물도 25% 감소했음.

  - 현재 미국 상업부동산 거래 중 해외자금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10%로 추정되고 있음.

  - 또한 한국의 대미 투자의 경우 미국 전체시장에서는 미미하나 한인이 밀집한 LA 지역에서는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음.


 ○ 달러 약세는 계속될듯

  - 메릴린치 임성두 부사장은 메릴린치 측은 달러 약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히며, 현재 달러당 110엔이 2008년 상반기에는 105, 하반기에는 103로 내려가고 2009년에는 100엔까지 내려갈 것이라고 예상함.

  - 원화는 현재 달러당 925원에서 2008년 상반기에는 890원, 하반기에는 850원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여 원화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임.

  - 경제 세미나 패널토의 중 위앤화 절상에 대한 이슈도 제기됐는데, 메릴린치 측은 2004년 8.35에서 2007년 7.3로 떨어진 추세를 이어가 2008년 상반기에는 7.1, 하반기에는 6.8, 2009년에는 6.5까지도내려갈 것으로 예상했음.

  - 중국에서 섬유공장과 무역업을 하고 있는 신남호 전 의류협회 회장은 중국의 체감경기는 통계상에 나타난 것보다 강하다고 밝히며, 향후 수년 내 5까지 내려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함.


 ○ 금리 인하로 인플레도 우려

  - 미 FRB는 최근 3번에 걸쳐 금리를 인하했는데 메릴린치는 2009년까지 2%까지 내릴 것으로 전망했음.

  - 그러나 금리인하에 따라 자금 유동성이 높아져 인플레이션이 우려되고 있는데, 손성원 한미은행장은 인플레이션이 세금증가로 이어져 사회적·정치적인 이슈로 확산될 것이라고 밝혔음.

  -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반면 유가는 다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주목

  - 유가는 2007년 하반기 배럴당 90달러로 폭등했으나 메릴린치는 2008년 4분기까지 배럴당 70달러로 안정될 것으로예상함.


□ 시사점


 ○ 미국 내 기업투자와 수출증가는 긍정적인 영향

  - 현재 미국 경제의스태크플레이션이 우려되고 있는데, 긍정적인 측면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님.

  - 일례로 미국기업들이 재고와 설비투자 부문에 투자를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경기를 유지하는데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또한 달러 약세로 수출이 증가해 제조업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 일반적으로 수출이 10억 달러 증가할 때 2만개의 일자리가 추가적으로 증가되는데 미국의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제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음.


 ○ 그러나 미국 경기후퇴 (Recession) 가능성은 50/50

  -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2007년 초 경제전문가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을 때 10~15%의 응답자들이 미국경기 후퇴를 예상한다고 밝혔으나 2007년 하반기에는 이 수가 50%까지 올랐음.

  - 심리상 구체적으로 언급은 하고 있지 않으나 경기후퇴가 조심스럽게 예상되고 있는 상태임.

  - FRB는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2008년 상반기에도 금리인하 방법을 사용할 듯 함.

  - 2008년 GDP 성장률은 1.4%로 둔화됐다가 2009년 2.2%로 반전될 것으로 보이며 금리인하 처방전이 서서히 효과를나타낼 것으로 보임.

  - 그러나 미국 경기가 회복되기 전 미국 내 소비가 줄어들면서 수입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미국 수출을 최종 목적으로 하는 동남아 등아시아 지역의 원자재 거래 및 수출입이 줄어들어 아시아와 세계 경제도 둔화되는 것이 우려되고 있음.


자료원 : LA 무역관 주최 2008 한미 경제세미나 기조연설 및 패널 토의, 한미은행 손성원행장, LA 무역관 김상철 관장, CBRE 마크 홍 부사장, 메릴린치 임성두 부사장, 신남호 전 의류협회장, 최기호 공인회계사, USC 이제훈 교수

Posted by trigg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