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물가상승 등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최근 중국 물가 상승과 유동성 증가
<물가>
□ 금년 8월 소비자 물가가 돼지고기 등 식품가격 상승으로 6.5%에 달해 월간으로 11년 만에 최고 기록
□ 또한 주가가 지난해 130% 상승에 이어 금년 1~9월에 105% 상승하고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 가격 상승세도 지속
<유동성증가>
□ 원자재의 현지 구입비율 증가와 중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따른 수입대체 등으로 금년 1~8월 상품수지가 전년 동기대비 71% 증가
□ 제조업 부문 외에 금융부문 등의 자금 유입으로 금년 1~7월에 FDI가 전년 동기대비 13% 증가
□ 은행의 유동성 유입증대로 대출과 총통화가 16~17% 증가
2. 중국정부의 경기과열 억제조치
□ 거시경제 안정을 위해 금년에 5회 금리 인상과 7회 지급준비율 인상
□ 주민의 해외유가증권 투자 허용 등 자본의 해외유출 완화
3. 중국 내외 경제 환경
□ 균형발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잦은 최저임금 인상 및 환경규제 등으로 기업 비용부담 증가
□ 국제 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 지속되는 한편, 물가 억제를 위해 석유류 제품 가격 동결 실시로 가격 왜곡 현상 발생
4. 중국의 물가와 유동성 전망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까지는 경제와 정치사회적 혼란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온건한 경제정책 지속 추진 전망
□ 그러나 소폭의 잦은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이 오히려 시장에 내성만 키워 물가가 식품에서 전 품목으로 상승 확대될 가능성
□ 거시 경제안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올림픽 후 과감한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의 실시로 유동성 공급이 둔화될 전망
□ 반면, 기왕의 자본 규제 완화 조치와 맞물려 해외로의 자본유출의 가속화를 초래하여 자산 가격 급락 가능성
5.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영향>
□ 중국의 강력한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으로 대 중국 수출 더욱 둔화 우려
□ 이는 우리의 대 중국 수출품목이 전기전자 등 극히 일부 품목에 의존하는 경향 심화에서 비롯
□ 또한 중국 진출 우리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투자에 따른 수출유발 효과도 감소
<시사점>
□ 제조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대 중국 수출 상품 다양화 모색
□ 금융, 서비스 등 비제조업 분야 중심의 중국 진출을 통해 향후 확대되는 서비스 시장 개척에 고려
□ 중국 현지법인의 양적 성장보다는 내실 위주의 경영으로 리스크 관리에 주력 필요성
□ 부동산, 주식 등의 대 중국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되 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상황을 고려하여 당분간 신중한 자세 필요
□ 또한 수출 상품의 브랜드화와 고급화는 물론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국내경제 안정 도모
1. 최근 중국 물가 상승과 유동성 증가
<물가>
□ 금년 8월 소비자 물가가 돼지고기 등 식품가격 상승으로 6.5%에 달해 월간으로 11년 만에 최고 기록
□ 또한 주가가 지난해 130% 상승에 이어 금년 1~9월에 105% 상승하고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 가격 상승세도 지속
<유동성증가>
□ 원자재의 현지 구입비율 증가와 중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따른 수입대체 등으로 금년 1~8월 상품수지가 전년 동기대비 71% 증가
□ 제조업 부문 외에 금융부문 등의 자금 유입으로 금년 1~7월에 FDI가 전년 동기대비 13% 증가
□ 은행의 유동성 유입증대로 대출과 총통화가 16~17% 증가
2. 중국정부의 경기과열 억제조치
□ 거시경제 안정을 위해 금년에 5회 금리 인상과 7회 지급준비율 인상
□ 주민의 해외유가증권 투자 허용 등 자본의 해외유출 완화
3. 중국 내외 경제 환경
□ 균형발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잦은 최저임금 인상 및 환경규제 등으로 기업 비용부담 증가
□ 국제 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 지속되는 한편, 물가 억제를 위해 석유류 제품 가격 동결 실시로 가격 왜곡 현상 발생
4. 중국의 물가와 유동성 전망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까지는 경제와 정치사회적 혼란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온건한 경제정책 지속 추진 전망
□ 그러나 소폭의 잦은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이 오히려 시장에 내성만 키워 물가가 식품에서 전 품목으로 상승 확대될 가능성
□ 거시 경제안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올림픽 후 과감한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의 실시로 유동성 공급이 둔화될 전망
□ 반면, 기왕의 자본 규제 완화 조치와 맞물려 해외로의 자본유출의 가속화를 초래하여 자산 가격 급락 가능성
5.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영향>
□ 중국의 강력한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으로 대 중국 수출 더욱 둔화 우려
□ 이는 우리의 대 중국 수출품목이 전기전자 등 극히 일부 품목에 의존하는 경향 심화에서 비롯
□ 또한 중국 진출 우리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투자에 따른 수출유발 효과도 감소
<시사점>
□ 제조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대 중국 수출 상품 다양화 모색
□ 금융, 서비스 등 비제조업 분야 중심의 중국 진출을 통해 향후 확대되는 서비스 시장 개척에 고려
□ 중국 현지법인의 양적 성장보다는 내실 위주의 경영으로 리스크 관리에 주력 필요성
□ 부동산, 주식 등의 대 중국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되 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상황을 고려하여 당분간 신중한 자세 필요
□ 또한 수출 상품의 브랜드화와 고급화는 물론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국내경제 안정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