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및 업종 분석의 접근 방향(진행중)

다음의 내용들에 대해서 검토하고 결합시켜서 방법론을 재정립하자

거시경제 분석

1. 경기 순환 곡선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경기둔화시에는 저평가 자산주
>> 그레이엄 방식으로 저평가된 자산가치주, EV/EBITDA가 낮은 우량 종목이 주목받음

- 경기회복시에는 윌리엄 오닐 방식의 성장주가 주목받음

- 경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 : 유가, 환율(엔화 대비 원화의 수출경쟁력)

- 관련 변수 및 지표 : 경기선행지수, 경기동행지수, BSI, 경기실사지수

2. 달러환율, 엔화환율
3. 기술기업의 경우, Gartner의 Hype Cycle

산업분석 - 거시적인 방법

1. 마이클 포터의 5가지 점검 요소 - 개별 기업에도 적용가능
2. SWOT

개별 기업 분석 - 미시적인 방법

1. 그레이엄 - 정량적
2. 필립 피셔 - 정성적
3. 윌리엄 오닐 - 정량적


벤자민 그레이엄 방식 : 운전자산 - 시가총액, 운전자산/시가총액
방식 1: 운전자산 = 유동자산-유동부채
방식 2: 운전자산 = 자산총계-고정자산-부채총계
방식 3: 운전자산 / 시가총액 > 150% 이상

존 네프 상수 : 가능하면 5년 평균이 좋지만...
(이익성장률 + 배당수익률)/ PER > 4
이익성장률 = 3년 평균 EPS 또는 3년 평균 ROE
배당수익률 = 3년 평균 배당수익률

EV/EBITDA 비율 : 뾰족한 방법이 없으면 일단 다른 방법들로 구한 후에 괜찮은 회사만 이걸로 구한다
이것은 비교할 만한 것은 없는데, 상대적으로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음
EV 증가율 < EBITDA 증가율

영업이익 3년 CAGR > 매출액 3년 CAGR, 즉, 이익률이 좋아지고 있는 회사
순이익 3년 CAGR > 매출액 3년 CAGR, 즉, 순이익률이 계속 좋아지고 있는 회사

조엘 그린블라트의 방식


"자본수익률", "이익수익률" 의 두 지표로 전체상장사를 순위를 만들고 나서 상위 20 - 30 개 업체에 장기(1년단위,2년단위,3년단위마다 %차이와 리스크의 차이)로 투자하였을때 17년간 투자수익률 평균이 시장수익률의 평균 2배를 넘는다는 것입니다.

* 자본수익률 ROC = EBIT(세전영업이익) / (순운전자본 + 순고정자산)
* (순운전자본 + 순고정자산) = 투입유형자본

* 이익수익률 = EBIT / EV(기업가치)
* EV = 시가총액(주식수 * 기말주가)(우선주포함) + 순부채(총차입금 - 현금예
금 )

Posted by trigg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