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프리카'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01.28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2008년에도 쾌속성장 예고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2008년에도 쾌속성장 예고

- 2007년  5.8%성장에 이어 2008년 중 6.1%의 고성장 예상 -

- 넘치는 오일머니로 인해 세계 경제성장의 견인차로서 역할 기대감도 고조 -

- 단순 원유공급원으로서가 아닌 전략시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 


보고일자 : 2008.1.3.

권중헌 암만무역관

jhkwon at kotra.or.kr


□ 개요


 ㅇ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시름이 더해가는 와중에도 중동 및 북 아프리카(Middle East & North Africa : 이하 ‘MENA"로 통칭) 경제는 2008년에도 쾌속성장을 계속할 것으로 전망됐음.


 ㅇ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자료에서, 2007년도 MENA지역 17개국의 평균 성장률은 5.8%에 이르고, 이어 2008년에는 지속적인 고유가를 배경으로 경제성장률이 6.1%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


 ㅇ IMF는 이어 1) 범 아랍 자유무역협정(GAFTA)과 각국과의 FTA 체결 등을 통해 역내외 국가와의 경제 통합이 가속화되고, 2)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와 3) 연평균 5.8%(2003~07)에 이르는 고성장 기조 유지, 4) 경제시스템의 선진화 등으로 인해 고속성장과 함께 MENA지역 국가들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도 크게 증대될 것이라고 전망했음.


 ㅇ 특히, 모쉰 칸(Moshin Khan) 중동담당 국장은 1) 민영화 확대와 시장 기능의 제고 2) 소득의 향상 등이 가장 눈에 띈다고 밝히면서, “MENA 지역의 1인당 GDP가 지난 10년 동안 배 이상이 증가했으며, 이것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MENA 지역 국가의 위상변화를 주도할 것이다."라고 부연했음.


□ 최근의 주요한 변화


 ㅇ 이 같은 양적 성장은 질적인 변화도 초래하고 있는 바, 최근 세계은행의 사회개발 관련 자료에 따르면, MENA지역의 평균 수명은 최근 15년 동안 64세에서 70세로 늘어났으며, 여성 1인당 출생인구도 1.8명으로 15년 전에 비해 1/2로 크게 줄어들었음.


 ㅇ 이외에도 최근 들어 GCC국가(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6개 산유국)를 중심으로 산업의 다변화 현상이 뚜렷하게 진전되고 있으며, 비산유국(요르단, 이집트, 모로코 등)에서는 통신과 은행 등의 분야에서 민영화가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음.


 ㅇ 산업화, 민영화 추세에 따라 2002년 이후 2007년 말 현재까지 MENA 지역으로 유입된 외국인 투자유치 자금은 총 800억 달러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중 40%가 UAE와 사우디에 집중되고 있음.


 ㅇ 특히, GCC 국가들은 넘쳐나는 오일머니를 사회간접자본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확인된 규모만 약 8000억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민관 파트너십(PPP)의 형태로 투자가 이루고 있고 있음.

  - 이같은 사회간접자본분야 투자확대는 제조업 육성과 고용확대, 성장 등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지역 경제에 순기능적으로 작용하고 있음.


 ㅇ 사회간접자본분야 확충과 함께 외국으로 발길을 돌렸던 오일머니의 상당부분이 지역 내로 회귀하면서 MENA 지역의 주식시장도 사상 초유의 활황세를 보이고 있음.

  - 주요 국가별 주가지수 상승률(2007년 11월 말 현재 기준) : 모로코(52%), 오만(48%), 이집트(45%), 카타르(38%), 두바이(37%), 쿠웨이트(24%)   


 ㅇ 이와 함께, 일부 산유국들에서는 비석유분야의 성장 기여도가 점차 높아가고 있을 뿐 아니라, 이집트, 요르단 등 비산유국들의 경우는 산유국들로부터의 투자자금 유입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근래에 보기 드문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 성장 기여도가 높아 가고 있는 주요 비석유분야 : 관광 및 건설(바레인, 알제리, UAE), 금융 서비스 (쿠웨이트), 에너지 집약산업(사우디아라비아)


□ 거시경제지표 동향과 전망


 ㅇ 우선, 성장 면에서 볼 때 2007년도 MENA지역 17개 국가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5.8%를 기록, 8년 연속 세계 평균성장률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됨.

  - 지역별로는 비산유 중동국가들(Mashreq)가 6.3%로 성장률이 가장 높으며, 이어 석유수출국(Oil-Exporters) 5.7%, 마그레브 국가들 (Maghreb) 4.3% 등의 순임.

  - 2008년에도 비산유 중동국가들이 6.5%로 선전을 하는 가운데 석유 수출국과 마그레브 국가들도 5.6%의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연도별 지역별 경제성장률 (단위 : %, 전년비)

구분

2005

2006

2007(예상)

2008(전망)

Oil-Exporters

5.6

5.4

5.7

5.6

Mashreq

4.3

6.1

6.3

6.5

Maghreb

4.1

5.2

4.3

5.6

주 : 1) Oil-Exporters : 바레인, 이란, 쿠웨이트, 리비아, 오만, 사우디, UAE, 예맨

      2)  Mashreq :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3) Maghreb :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

자료원 : IMF, 세계경제 전망 2007년 10월


 ㅇ 계속되는 성장과 함께, 2005년 중 5%대에 머물러 있던 물가 상승률도 2007년에는 8.6%로 크게 증가, 물가불안이 가중되고 있음.

  - 주요 원인으로는 1) 호황에 따른 통화 유통량 증가, 2) 주택 등에서의 공급 제약, 3) 유효적절한 통화정책 미흡 등이 지적되고 있음.

  - 전반적인 물가 상승 분위기에도 불구, 이라크의 경우는 전년도에 65%까지 치솟았던 물가가, 2007년에는 정부의 강력한 통화 평가절상 조치에 힘입어 절반 수준으로 까지 떨어짐.

  - 2008년에는 전체적으로 2007년에 비해 물가 상승률이 다소 떨어질 것으로 전망됨.


연도별 지역별 물가상승률 (단위 :%, 전년비 증감률)

구분

2005

2006

2007(예상)

2008(전망)

Oil-Exporters

6.7

8.4

11.0

9.7

Mashreq

7.7

5.3

9.6

7.2

Maghreb

1.5

3.1

3.6

3.4

자료원 : 상동


 ㅇ 계속되는 국제 유가 상승과 비석유분야 수출증대 등에 힘입어 재정 및 국제수지 양면에서 공히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음.   

  - 2007년 중 석유 수출국의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2441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현 국제유가 추이에 비추어 볼 때 2008년에는 이 흑자규모가 2672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2007년 중 전년도에 비해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줄어든 것은, 수출의 양적 축소 때문이 아닌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 확대 발주에 따른 원부자재 수입 증대가 주요인으로 작용했음.


연도별 지역별 경상수지 (단위 :%, GDP 대비 비중)

구분

2005

2006

2007(예상)

2008(전망)

Oil-Exporters

22.3

22.7

19.2

18.5

Mashreq

-2.3

-2.6

-2.4

-2.5

Maghreb

11.7

14.6

10.4

9.7

자료원 : 상동


 ㅇ 한편, IMF는  MENA 지역 산유국들이 2004~08년 중 벌어들인(일) 오일머니 총 규모가 1조9000억 달러에 달한다고 추산하고 있는데, 이 같은 엄청난 규모의 오일머니의 단기간 내 집중 유입으로 인해, 2007년 말 현재 MENA 지역 국가들의 공적 외환보유고가 무려 736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음.

  - 이에 비해 요르단, 모로코 등 비산유국들은, 산유국에서 근무하고 있는 자국민들로부터의 송금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상수지 적자 상태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MENA 지역 주요 거시경제 데이터

지표

2005

2006

2007 (예상)

2008 (전망)

GDP(명목, US$십억)

1,274.9

1,493.2

1,720.7

1,948.8

경제성장률(실질, %)

5.2

5.8

5.8

6.1

소비자 물가 상승률(%)

5.8

6.8

8.6

7.8

정부 부채(GDP대비 비중, %)

47.2

40.4

35.7

32.6

수출(상품 및 서비스, US$10억)

700.3

833.8

918.8

1,023.1

수입(상동)

488.9

581.4

691.8

781.7

경상수지(US$ 10억)

215.1

264.4

244.1

267.2

외환보유고(US$ 10억)

428.1

585.6

736.2

893.4

석유 수출(예맨 제외, Mn b/d)

19.0

19.3

18.7

18.8

주 : MENA(바레인, 이란, 쿠웨이트, 리비아. 오만, 사우디, UAE, 카타르, 이라크, 예맨,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


□ 시사점


 ㅇ 최근 MENA지역을 둘러싼 제반 환경과 경제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MENA 지역국가들은 당분간 안정적인 고성장을 유지하면서, 동아시아 국가들과 함께 세계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신 성장 동력으로 그 역할을 지속해 나갈 것으로 예상됨.

  - IMF는 유가가 배럴당 10달러가 떨어질 경우 수출과 재정에서 각각 900억 달러, 700억 달러의 손실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난 3~4년간 워낙 탄탄한 기반을 구축해 놓고 있어, 유가의 일시적 하락에도 불구하고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ㅇ 하지만, 만연하고 있는 부채와 후진적인 금융 시스템, 경직적인 노동시장, 관료주의 팽배 등은 장기 성장을 위해서는 지역 전체적으로 반드시 선결해야 할 숙제이며, 특히 알제리와 이란, 리비아, 시리아, 예맨 등 일부 국가에서는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를 위한 광범위한 개혁조치가 요구되고 있기도 함.


 ㅇ 이러한 애로에도 불구하고, 2008년까지 최근 4년간 석유 수출로 벌어들인 오닐머니가 총 1조9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연말까지 예상되는 외환 보유고가 2007년 말 현재 7362억 달러, 2008년 말 현재 8934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예상 등은 MENA 지역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을 교정할 필요성이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대목이라 할 수 있음.


 ㅇ 앞으로는 MENA 지역이 단순한 원유 수입원 혹은 건설 프로젝트 수주지역이라는 1차 방정식적 해법에서 벗어나 수출과 투자 및 건설 진출, 그리고 오일머니 유치 등을 종합한 3차 방정식으로 풀어 나가야 할 숙제를 안게 됐다는 것임.


 ㅇ 그동안의 근시안적 시각에서 탈피, 8년 연속 세계 경제성장률을 넘는 고성장세와 넘치는 오일머니를 우리의 대중동 수출과 투자유치전략과 연계하는 종합적인 시각과 접근방법 강구가 요구되는 시점임.


MENA 국가별 2008년도 거시경제 전망

국가명

GDP(명목)

(US$ 10억)

성장률
(실질, %)

물가상승률

(%)

공공부채

(GDP대비

비중, %)

총수출

(US$ 10억)

총수입

(US$ 10억)

경상수지

(US$ 10억)

알제리

139.5

5.2

4.3

15.8

69.6

44.7

25.7

바레인

18.6

6.5

2.7

22.3

17.0

12.0

2.8

이집트

149.7

7.3

7.9

83.1

44.2

53.4

1.2

이란

324.6

6.0

16.7

14.3

99.2

80.9

21.3

이라크

74.8

5.3

12.0

83.3

37.6

38.3

0.7

요르단

17.4

6.0

4.5

69.7

9.9

15.9

-2.1

쿠웨이트

114.5

4.8

2.6

5.8

71.2

37.8

40.4

레바논

25.3

3.5

2.5

142.7

14.8

19.3

-2.4

리비아

79.5

6.9

6.9

0.0

55.7

31.1

24.4

모로코

79.7

5.9

2.0

54.7

28.7

35.2

0.2

오만

45.4

6.3

3.5

5.0

26.9

19.3

3.2

카타르

82.8

14.1

10.0

10.1

63.9

33.3

29.5

사우디

407.0

4.3

3.0

15.0

245.2

160.0

81.8

시리아

39.4

3.7

7.0

50.1

14.4

16.9

-2.6

튀니지

37.8

6.2

3.0

50.6

20.1

21.0

-1.0

UAE

215.3

6.6

6.4

11.0

182.8

132,6

49.5

예맨

26.0

4.3

12.1

37.3

7.9

8.6

-0.1

자료원 : 상동



자료원 : IMF 세계경제 전망

Posted by trigger
,